대구수목원 // 용종 해독 간염에 효능이 있고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산방상으로 달리는 황색꽃 마타리(고직),꽃,효능.

반응형 SMALL * 대구수목원에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월경불순 위궤양 해열 해독제로 쓰이는 마타리(고직) 황색꽃이 무리를지어 아름답게 피었습니다. ※ 황색꽃은 대다수 봄에 꽃이 피는데, 마타리 황색 꽃은 여름에 꽃이 핍니다. ♣ 꽃말은 '미인, 무한한 사랑' 입니다.     1. 마타리 꽃: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벋는다.  곧추 자라는 원줄기는 높이 90~180cm 정도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2. 마타리 명패: 쌍자엽식물 합판화  마타리과 이다.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3. 마타리 꽃: 본초명은 고직(苦蘵, Ku-Zhi), 녹장(鹿醬, Lu-Jiang), 패장(敗醬, Bai-Jiang), 황화패장(黃花敗醬, Huang-Hua-Bai-Jiang).  별칭은 가양취, 미역취, 가얌취 라고 한다.   4. 마타리 꽃: 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생엽은 마주나며 잎몸은 우상으로 갈라진다.  7~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5. 마타리 꽃: 열매는 길이 3~4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약간 편평하고 복면에 맥이 있으며 뒷면에 능선이 있다.   6. 마타리 꽃: ‘돌마타리’와 달리 높이 60~150cm 정도이며 잎에 누운 털이 있고 ‘뚝갈’에 비해 전체에 털이 적고 꽃은 황색이며 소포는 현저하지 않고 과실에 날개가 발달하지 않는다.   7. 마타리 꽃: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과 어린순을 나물로 또는 다른 산나물과 데쳐서 무치거나 나물밥, 볶음밥, 잡채밥의 부재료에 이용하고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8. 마타리 꽃: 특성은 쌍자엽식물(dicotyledon), 합판화(sym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포복형식물과 직립형식물(creeping and 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9. 마타리 꽃: 효능는 간염, 개선, 거어지통, 급성간염, 대하증, 단독, 부종, 소염, 소종배농, 안질, 어혈, 옹종, 위궤양, 위장염, 일체안병, 정양, 정혈, 종창, 진통, 청혈해독,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화상, 활혈 에 좋다.   10. 마타리 꽃: 꽃말은 '미인, 무한한 사랑' 입니다.   42. 마타리 꽃밭.   *유튜브 동영상 링크 바로가기 : 화면 좌측 하단 다음에서보기 눌러주세요! ♥보신후 광고클릭,구독, 좋아요, 알람 설정해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youtu.be/Poz0nAyUoFk?si=HQJzqQhKs-f6tA5Y        *마타리(dahurian-patrinia) 꽃말: '미인, 무한한 사랑' 입니다. 분류: 쌍자엽식물 합판화  마타리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학명: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본초명: 고직(苦蘵, Ku-Zhi), 녹장(鹿醬, Lu-Jiang), 패장(敗醬, Bai-Jiang), 황화패장(黃花敗醬, Huang-Hua-Bai-Jiang) 별칭: 가양취, 미역취, 가얌취 크기: 높이 60-150cm. 설명: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벋는다. 곧추 자라는 원줄기는 높이 90~180cm 정도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생엽은 마주나며 잎몸은 우상으로 갈라진다. 7~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열매는 길이 3~4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약간 편평하고 복면에 맥이 있으며 뒷면에 능선이 있다. ‘돌마타리’와 달리 높이 60~150cm 정도이며 잎에 누운 털이 있고 ‘뚝갈’에 비해 전체에 털이 적고 꽃은 황색이며 소포는 현저하지 않고 과실에 날개가 발달하지 않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과 어린순을 나물로 또는 다른 산나물과 데쳐서 무치거나 나물밥, 볶음밥, 잡채밥의 부재료에 이용하고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특성은 쌍자엽식물(dicotyledon), 합판화(sym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포복형식물과 직립형식물(creeping and 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용도는 어린 순은 식용한다. 정원이나 공원 등에 심어 관상한다. 절화용으로도 이용하면 좋다. 뚝갈/마타리의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는 敗醬(패장), 花枝(화지)는 黃屈花(황굴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敗醬(패장)①여름에 채취하는데 전그루를 뽑아서 햇볕에 말린다.②성분 : 전초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果枝(과지)에는 sinigrin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와 근경에는 morroniside, loganin, villoside 등을 함유하고 마타리의 뿌리와 근경에는 oleanolic acid, hederagenin, β-sitosterol-β-d-glucoside와 다종의 saponin을 함유한다. 뿌리에는 精油(정유) 8%, alkaloid, tannin,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에는 15종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었고 주요한 것은 鎭靜(진정)과 최면작용의 유효성분인 patrinene과 isopatrinene이다.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排膿破瘀(배농파어)의 효능이 있다. 腸癰(장옹-蟲垂炎(충수염)), 下痢(하리), 赤白帶下(적백대하),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目赤腫痛(목적종통), 癰腫疥癬(옹종개선)을 치료한다.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짓찧어서 붙인다.⑵黃屈花(황굴화) - 花枝(화지)로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3-6g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효능는 간염, 개선, 거어지통, 급성간염, 대하증, 단독, 부종, 소염, 소종배농, 안질, 어혈, 옹종, 위궤양, 위장염, 일체안병, 정양, 정혈, 종창, 진통, 청혈해독,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화상, 활혈 등.       *보시고 아래 ♡모양에 공감 버튼을 한번만 꾹~ 눌러주세요! - 감사합니다 -     반응형 '여행 > 대구수목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수목원 // 지사제 향균제로 사용되고 백중날 연꽃대신 부처님께 공양하였다는 털부처꽃(천굴채),꽃,효능,유래.  (268) 2023.08.28 대구수목원 // 해독 지혈 기생충 구제로 쓰고 독성약용식물 향기가 좋아서 여름라일락 으로도 불러지는 희귀종 부들레야(취어초),꽃,효능.  (349) 2023.08.10 대구수목원 // 호흡기 질환 해독작용이 있고 잎이 달려있을 때에는 꽃이없고, 꽃이 필때는 잎이 없어서 꽃과잎이 서로 그리워 하는 상사화(개난초),꽃,효능,전설,유래.  (364) 2023.08.07 대구여행 // 대구수목원 종교관련식물원에 경전 속 불교식물 천상의 나무와 꽃 향기가 뛰어나고 아름답지만 식물 전체에 독이 있는 희귀식물 크레이프 자스민(삼우화), 꽃.  (348) 2023.08.03 대구수목원 // 염료 피부염에 쓰이고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 한국 원산지 샛노란 애기솔나물(바위갈퀴),꽃,효능.  (319) 2023.07.27

대구수목원 // 용종 해독 간염에 효능이 있고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산방상으로 달리는 황색꽃 마타리(고직),꽃,효능.
반응형
SMALL

* 대구수목원에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월경불순 위궤양 해열 해독제로 쓰이는 마타리(고직) 황색꽃이 무리를지어 아름답게 피었습니다.

※ 황색꽃은 대다수 봄에 꽃이 피는데, 마타리 황색 꽃은 여름에 꽃이 핍니다.

♣ 꽃말은 '미인, 무한한 사랑' 입니다.

 

 

1. 마타리 꽃: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벋는다.  곧추 자라는 원줄기는 높이 90~180cm 정도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2. 마타리 명패:

쌍자엽식물 합판화  마타리과 이다.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3. 마타리 꽃:
본초명은 고직(苦蘵, Ku-Zhi), 녹장(鹿醬, Lu-Jiang), 패장(敗醬, Bai-Jiang), 황화패장(黃花敗醬, Huang-Hua-Bai-Jiang).  별칭은 가양취, 미역취, 가얌취 라고 한다.

 

4. 마타리 꽃:

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생엽은 마주나며 잎몸은 우상으로 갈라진다.  7~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5. 마타리 꽃:

열매는 길이 3~4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약간 편평하고 복면에 맥이 있으며 뒷면에 능선이 있다.

 

6. 마타리 꽃:

‘돌마타리’와 달리 높이 60~150cm 정도이며 잎에 누운 털이 있고 ‘뚝갈’에 비해 전체에 털이 적고 꽃은 황색이며 소포는 현저하지 않고 과실에 날개가 발달하지 않는다.

 

7. 마타리 꽃: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과 어린순을 나물로 또는 다른 산나물과 데쳐서 무치거나 나물밥, 볶음밥, 잡채밥의 부재료에 이용하고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8. 마타리 꽃:

특성은 쌍자엽식물(dicotyledon), 합판화(sym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포복형식물과 직립형식물(creeping and 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9. 마타리 꽃:

효능는 간염, 개선, 거어지통, 급성간염, 대하증, 단독, 부종, 소염, 소종배농, 안질, 어혈, 옹종, 위궤양, 위장염, 일체안병, 정양, 정혈, 종창, 진통, 청혈해독,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화상, 활혈 에 좋다.

 

10. 마타리 꽃:

꽃말은 '미인, 무한한 사랑' 입니다.

 

42. 마타리 꽃밭.

 

*유튜브 동영상 링크 바로가기 : 화면 좌측 하단 다음에서보기 눌러주세요!

♥보신후 광고클릭,구독, 좋아요, 알람 설정해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youtu.be/Poz0nAyUoFk?si=HQJzqQhKs-f6tA5Y 

 

 

 

*마타리(dahurian-patrinia)

꽃말: '미인, 무한한 사랑' 입니다.

분류: 쌍자엽식물 합판화  마타리과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소련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의 산야 양지에 자생한다.

학명: Patrinia scabiosaefolia Fisch. ex Trevir.

본초명: 고직(苦蘵, Ku-Zhi), 녹장(鹿醬, Lu-Jiang), 패장(敗醬, Bai-Jiang), 황화패장(黃花敗醬, Huang-Hua-Bai-Jiang)

별칭: 가양취, 미역취, 가얌취

크기: 높이 60-150cm.

설명: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근경은 굵으며 옆으로 벋는다. 곧추 자라는 원줄기는 높이 90~180cm 정도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모여 나고 경생엽은 마주나며 잎몸은 우상으로 갈라진다. 7~9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은 황색이다. 열매는 길이 3~4mm 정도의 타원형으로 약간 편평하고 복면에 맥이 있으며 뒷면에 능선이 있다. ‘돌마타리’와 달리 높이 60~150cm 정도이며 잎에 누운 털이 있고 ‘뚝갈’에 비해 전체에 털이 적고 꽃은 황색이며 소포는 현저하지 않고 과실에 날개가 발달하지 않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약용이나 관상용으로 심는다. 잎과 어린순을 나물로 또는 다른 산나물과 데쳐서 무치거나 나물밥, 볶음밥, 잡채밥의 부재료에 이용하고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특성은 쌍자엽식물(dicotyledon), 합판화(sympetalous flower),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포복형식물과 직립형식물(creeping and 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plant).

용도는 어린 순은 식용한다.

정원이나 공원 등에 심어 관상한다. 절화용으로도 이용하면 좋다.

뚝갈/마타리의 뿌리가 달린 全草(전초)는 敗醬(패장), 花枝(화지)는 黃屈花(황굴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敗醬(패장)
①여름에 채취하는데 전그루를 뽑아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果枝(과지)에는 sinigrin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와 근경에는 morroniside, loganin, villoside 등을 함유하고 마타리의 뿌리와 근경에는 oleanolic acid, hederagenin, β-sitosterol-β-d-glucoside와 다종의 saponin을 함유한다. 뿌리에는 精油(정유) 8%, alkaloid, tannin,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에는 15종 이상의 성분이 함유되었고 주요한 것은 鎭靜(진정)과 최면작용의 유효성분인 patrinene과 isopatrinene이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排膿破瘀(배농파어)의 효능이 있다. 腸癰(장옹-蟲垂炎(충수염)), 下痢(하리), 赤白帶下(적백대하), 産後瘀滯腹痛(산후어체복통), 目赤腫痛(목적종통), 癰腫疥癬(옹종개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12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⑵黃屈花(황굴화) - 花枝(화지)로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3-6g을 술에 담가 복용한다.

효능는 간염, 개선, 거어지통, 급성간염, 대하증, 단독, 부종, 소염, 소종배농, 안질, 어혈, 옹종, 위궤양, 위장염, 일체안병, 정양, 정혈, 종창, 진통, 청혈해독, 피부소양증, 해독, 해열, 화상, 활혈 등.

 

 

 

*보시고 아래 모양에 공감 버튼을 한번만 꾹~ 눌러주세요! - 감사합니다 -

 

 

반응형